샤나 인코더 게임 영상 인코딩 세팅별 화질 비교 (1) :: GameDiff (tistory.com)

 

위 글에 이어서 필터를 먹여서 인코딩 했을 경우를 비교했습니다.

 

 

원본 2160p 40Mbps 2:00 - 605mb

hevc q32 fast 선명도1 zerolatency - 187mb

hevc q29 fast 선명도1 - 208mb

hevc q29 fast 선명도1 gradfun(4:16) - 203mb

hevc q29 fast 선명도1 deband - 199mb

 

*실수로 원본 스샷은 삭제해서 못 넣었네요.

*포토샵에서 리사이즈 하면 필터효과가 먹어서 깍두기들이 흐려져버려서, 화면만 확대한 상태에서 캡쳐해서 저장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컷씬 시의 비교 스샷으로 상대적으로 정적인 상황입니다. q29에서 필터 안 먹인게 더 나아보이네요. 전체적으로는 q32 zero가 더 나아보이긴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장면이 급박하게 변할 때의 비교 스샷입니다. q29 애들은 필터를 쓰건 안 쓰건 깍두기가 심하네요. q32 zero가 깍두기가 많이 줄어서 더 괜찮아 보입니다.

 

 


 

 

이번엔 1080p 애니풍 영상 인코딩 비교입니다. 너무 짧은 영상이라 용량 비교는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.

 

원본 1080p 40Mbps 0:21 - 110mb

hevc q24 fast 선명도0.5 zerolatency - 29.5mb

hevc q24 fast 선명도0.5 - 22.3mb

hevc q21 fast 선명도0.5 - 33.4mb

hevc q21 fast 선명도0.5 gradfun(4:16) - 33mb

hevc q21 fast 선명도0.5 deband - 33.3mb

hevc nvenc q28 p5 선명도0.5 - 30.5mb

hevc nvenc q29 p5 선명도0.5 - 27.8mb

 

 

*1080p는 비교 스샷으로 차이를 알아보기 좀 힘들긴 하네요...

 

 

원본

 

 

q24 zero가 미세하게나마 더 선명합니다. 하지만 깍두기도 꽤나 있는 편이라 nvenc도 나쁘진 않습니다. nvenc는 좀 뭉개지긴해도 외곽선이 더 선명지기도 해서 만화 풍에는 이런 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.

 

 

 

 

필터 효과는.. 이 장면만 봐서는 효과가 있나 잘 모르겠네요.

 

 


 

원본

 

 

차이가 많이 안 나긴 하지만, q21이 배경 이런 쪽은 zero보다 더 괜찮고, 머리카락, 모자 이런 쪽은 zero가 더 괜찮았습니다. 필터 효과는 굳이 넣은게 필요가 있나 싶긴 한데, 이건 제가 필터 값을 제대로 못 넣어서 일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
 

제가 테스트 했던 영상에서는 용량 대비 제일 괜찮은게 hevc에 제로 레이턴시 넣은 거였습니다. nvenc는 용량대비 화질은 딴거보다 못하긴 한데, 만화풍은 좀 뭉개져도 볼만한 경우가 많아서 화질 딱히 중요하지 않으면 nvenc로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. 일단은 인코딩 속도가 그냥 cpu로 하는 것보다 2~3배 정도 되거든요.

 

*테스트를 많이 해본 게 아니라서 다른 조건, 다른 영상에서는 또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.

 

+ Recent posts